나이트 행마에 관한 문제의 힌트를 게재하였습니다.


나이트 행마에 관한 문제의 힌트를 게재하였습니다.
문제의 댓글을 참조하세요.

2011년 3월 5일 토요일

이런게 '창의적' 또는 '혁신적'이라고 하는 것이다.

정말 배우고 싶은 이런 능력!
집단 두뇌의 힘이 바로 이런 것 아닐까?


머티리얼
금형설계제작기술
부품소재
반도체 설계
반도체 패키징
디지털/아날로그 사운드
하드웨에 디자인
소프트웨어 설계
플랫폼 설계
어셈블
씨코드
스크립
운영체제
유틸
에이피아이
구현 코딩

관리/마케팅/전략기획...
이건 머...

그러나 아래의 말은 어떤가?

<중략>
포춘 인터넷판은 4일 229개 영어 단어로 구성된 스티브 잡스의 2일 행사 끝맺음말을 정리해놓았다. 일단, 스티브 잡스의 말부터 살펴보자.

"나는 이전에도 포스트 PC를 말해왔다. 그것은 반복해서 이야기할 만한 가치가 있다. 애플의 DNA는 '기술 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철학이다. 포스트 PC는 그 철학 속에 담겨있다. 애플의 기술은 음악을 포함한 각종 교양과목 및 인문학과 결합했다. 그런 결합이 지금 우리를 즐겁게 하고 있다.
<후략>

2011년 2월 16일 수요일

뒤집는 카드 5총사-창의력문제 풀이 가이드

아래의 두 가지 풀이 가이드를 제시한다.
마지막까지 해답은 본인이 끈기를 갖고 찾기를 기대하며.
해답을 찾았을 때의 그 희열감을 반드시 맛볼 수 있도록!!!

2011년 2월 13일 일요일

인도 콜리우드(Kollywood) SF 대작 영화

미국에 헐리우드가 있다면, 인도에서는 발리우드와 콜리우드가 있다고 합니다.
콜리우드의 영화 중 최근 SF 대작으로 만든 영화라고 하는데, 상상력을 한계없이 발휘한 듯합니다. 물론 CG의 디테일을 따지자면 어찌 헐리우드에 견주겠느냐마는 그래도 인도에서 이 정도의 영화라니? 놀랍지 않습니까?

2011년 2월 11일 금요일

Phantom of the Floppera

플로페라-플로피디스크의 변신

수학도형과 색상이 가득한 그림들


Los Angeles, California-based Patrick Hruby creates bright and colorful illustrations that make us feel like a kid again! Not only are they playful and whimsical, they have that retro but completely modern feel to them...like a Michael Bublé song or like sunshine on your skin. 












2011년 1월 29일 토요일

Why Intelligent People Fail


Why Intelligent People Fail
  • Posted by Eric Allen Bell on June 21, 2009 at 8:32am in Law of Attraction TV
  • Back to Law of Attraction TV Discussions




Content from Sternberg, R. (1994). In search of the human mind. New...


1. Lack of motivation. A talent is irrelevant if a person is not motivated to use it. Motivation may be external (for example, social approval) or internal (satisfaction from a job well-done, for instance). External sources tend to be transient, while internal sources tend to produce more consistent performance.

2. Lack of impulse control. Habitual impulsiveness gets in the way of optimal performance. Some people do not bring their full intellectual resources to bear on a problem but go with the first solution that pops into their heads.

3. Lack of perserverance and perseveration. Some people give up too easily, while others are unable to stop even when the quest will clearly be fruitless.

4. Using the wrong abilities. People may not be using the right abilities for the tasks in which they are engaged.

5. Inability to translate thought into action. Some people seem buried in thought. They have good ideas but rarely seem able to do anything about them.

6. Lack of product orientation. Some people seem more concerned about the process than the result of activity.

7. Inability to complete tasks. For some people nothing ever draws to a close. Perhaps it’s fear of what they would do next or fear of becoming hopelessly enmeshed in detail.

8. Failure to initiate. Still others are unwilling or unable to initiate a project. It may be indecision or fear of commitment.

9. Fear of failure. People may not reach peak performance because they avoid the really important challenges in life.

10. Procrastination. Some people are unable to act without pressure. They may also look for little things to do in order to put off the big ones.

11. Misattribution of blame. Some people always blame themselves for even the slightest mishap. Some always blame others.

12. Excessive self-pity. Some people spend more time feeling sorry for themselves than expending the effort necessary to overcome the problem.

13. Excessive dependency. Some people expect others to do for them what they ought to be doing themselves.

14. Wallowing in personal difficulties. Some people let their personal difficulties interfere grossly with their work. During the course of life, one can expect some real joys and some real sorrows. Maintaining a proper perspective is often difficult.

15. Distractibility and lack of concentration. Even some very intelligent people have very short attention spans.

16. Spreading oneself too think or too thick. Undertaking too many activities may result in none being completed on time. Undertaking too few can also result in missed opportunities and reduced levels of accomplishment.

17. Inability to delay gratification. Some people reward themselves and are rewarded by others for finishing small tasks, while avoiding bigger tasks that would earn them larger rewards.

18. Inability to see the forest for the trees. Some people become obsessed with details and are either unwilling or unable to see or deal with the larger picture in the projects they undertake.

19. Lack of balance between critical, analytical thinking and creative, synthetic thinking. It is important for people to learn what kind of thinking is expected of them in each situation.

20. Too little or too much self-confidence. Lack of self-confidence can gnaw away at a person’s ability to get things done and become a self-fulfilling prophecy. Conversely, individuals with too much self-confidence may not know when to admit they are wrong or in need of self-improvement.


Tags: failure, intention, law-of-attraction, loa, manifesting, spirituality, success, wisdom

2011년 1월 28일 금요일

뒤집는 카드 5총사-창의력문제

문제는 간단해 보이지만 구하기가 만만치 않은 문제이다.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자기에게 가장 익숙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이 최선책이지 않을까?

2011년 1월 16일 일요일

세림이가 달라고 한 15, 17 스도쿠

<인쇄 팁 : 그림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 다른 이름으로 이미지 저장 >> 저장된 이미지 열어서 인쇄하면 됨,  인쇄 미리보기에서 한 페이지에 다 나올 수 있도록 배율을 적절히 조정하면 더 좋음>

15 스도쿠


17 스도쿠

2011년 1월 13일 목요일

나이트 행마에 관한 문제

일전에 얘기했던 나이트 행마법을 문제로 정리해 보았다.
아래는 페이지의 이미지 파일임.
인쇄할 때 미리보기에서 적당히 보이도록 조정을 해야만 제대로 인쇄가 됩니다.


2011년 1월 11일 화요일

뇌과학이 밝힌 '공부 잘하는 비법'

(중략)
...
뇌과학의 연구 성과에 따르면, 사람의 두뇌는 단순히 퍼 담는다고 해서 채워지는 빈 그릇이 아니라 독자적으로 움직이는 매우 정교한 시스템이다. 기억과 관련하여 우리 두뇌는 단기기억, 장기기억이라는 두 개의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단기기억은 기억을 임시로 저장하는 것이다. 외부에서 들어온 정보를 처리(작업)하는 과정에서 임시로 저장된 기억으로, 작업기억이라고도 한다.
단기기억은 저장 용량이 매우 제한되어 있고 불안정하다.  혹시 누구랑 한창 대화를 나누다가 순간적으로 내가 말하려는 의도를 잊어서 당황한 적이 있는가? 그럴 때 그 책임은 단기기억에 있다. 단기기억은 뇌의 해마가 담당하며, 기억을 보존하는 기간은 1개월이다.
반면 장기기억은 두뇌의 주요 자료 보관소이다. 측두엽이 담당하며, 한 번 장기기억으로 저장되면 좀처럼 잊히지 않는다. 저장 용량도 무한대에 가깝다. 누군가 알려주어서 전화기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기억되는 전화번호가 단기기억이라면, 자기 집이나 친한 친구의 전화번호처럼 언제든지 떠올릴 수 있는 기억은 장기기억이다.
그런데 왜 우리의 뇌는 기억을 단기와 장기로 구분할까?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분명한 것은 두뇌가 스스로 기억할 내용을 선택하기도 하고 버리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우리의 뇌는 스스로 판단해서 오래 보관할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정보만 장기기억의 창고로 가져간다.
만약 처음부터 장기기억이 만들어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공부가 식은 죽 먹기보다 쉬울 것이다. 그러나 두뇌는 공부만을 위해서 작동하는 것이 아니다. 또 두뇌는 자기 내부가 쓰레기로 가득차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다. 새로 들어온 정보가 오래 기억할 가치가 있는 것이지 철저하게 따지면서, 우리에게 적합한 절차와 방법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그 절차와 방법을 통해 장기기억으로 들어가는 문의 열쇠를 찾아야 한다.
두뇌는 정말 냉정하다. 자신의 요구 조건을 무시한 공부는 철저히 지워 버린다. 매일 밤늦도록 학원에 다니면서 성실하게 공부해도 노력한 만큼 성과가 나오지 않는 것은 공부 시간이나 노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장기 기억이 만들어지는 두뇌의 절차와 방법을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 절차와 방법이란 무엇일까? 바로 우리가 공부한 내용을 두뇌가 오래 저장해두어야 할 가치 있는 정보로 인식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이 다음 세 가지인데, 이것을 '공부의 3요소'라고 불러도 좋겠다.
첫째, 공부를 대하는 긍정적인 마인드, 적극적인 학습 태도.
둘째, 적절한 시간에 꾸준히 규칙적으로 하는 자기주도의 복습.
셋째, 스스로 터득한 자신의 특성에 맞는 공부 기술. 
이 세가지야 말로 많은 학부모와 학생들이 궁금해 하는 '공부 잘하는 비법'인 셈이다.
따라서 두뇌가 오래 저장해두어야 할 가치 있는 정보로 인식하고 이를 장기 기억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즐거운 마음 상태에서, 꾸준히 규칙적으로 자기주도의 복습을 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발췌:'아깝다 학원비'

2011년 1월 10일 월요일

스트링아트

스트링아트?
직선으로 곡선을 그리는 수학.
집중력을 요구한다. 부족하면 바로 실수를 하게 되고, 그럼 다시 첨부터 해야하는 까탈스런 작업.
과정은 어려우나 완성하고나면 매우 재미있다.
아래에 몇 가지 밑그림을 올려둔다.
참고로 182호 과정의 내용이므로 미리 선수학습 절대 하지 말도록 당부한다.

즐거운 노가다를 기대하며...

P.S.
그림을 다운받기 위해서는 그림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 >>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하면 된다.









2011년 1월 6일 목요일

체스의 'KNIGHT(나이트)'로 모든 칸 지나기.

재우가 체스 수업 숙제라면서 끙끙대는 문제가 있었다.
체스의 기물 중 '나이트'라는 놈이 있다. 이 놈은 창의력 수학에서도 자주 언급되는 녀석이다. 기물의 이동경로 자체가 수학적으로 응용하기에 많은 변칙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놈은 전후좌우대각선과 같은 직선의 움직임이 아니다. 두 칸은 앞으로 한 칸은 옆으로 움직인다. 장기의 '상'이 움직이는 것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기물이 요긴한 이유는, 다른 기물들은 자신이 움직이려는 길 위에 방해물(적아 구분없이)이 있을 때 그 방해물에 의해 저지되지만 나이트는 방해물을 뛰어넘고 자신의 길을 갈 수 있다. '체크메이트'에서 매우 요긴하게 사용되는 기물이다.
재우의 체스 문제는...
가로 8칸, 세로 8칸 총 64칸의 체스판에서 a1의 자리에 나이트 한 마리만 놓고, 이 놈이 모든 칸을 오직 한 번씩만 거쳐서 모든 칸을 다 지나가는 것이다. 쉬워 보이는가? 해보시라.
재수 좋을 경우 한 두번의 그림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수많은 반복시행을 해야 할 것이다.
'불가능하다!' 라고 외치고 싶은가? 아쉽게도 수학적으로 '가능하다'. 수학의 경로이론대로 모든 경로의 연결상태를 표시하면 틀림없이 가능하다.
나의 경우 20번 정도의 그림을 그린 듯 하다. 그리고 해결했다.

해보시라. 매우 재미있다.

사고력 문항으로 언젠가 써먹을거다!!!

2011년 1월 5일 수요일

숫자 중독 문제 오류 수정(아그들을 위한 페이쥐)

아그들아!

교재를 새로 제작하는 과정에 문제에 오류가 생겼나보아.
아래에 원래의 문제가 전시되어 있으니 참조해서 해결해 보렴.

문제 오류 덕택에 해답을 찾기 위한 끊임없는 시도가 있었겠지? 그것들이 헛되지 않았음은 다음 차시의 '숫자중독 짧은 경주'에서 확인하자꾸나 ㅋㅋㅋ




오늘도 즐거운 하루를!

2011년 1월 4일 화요일

숫자중독 문제오류 수정본(2011.1.4)

교재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문제에 오류가 생겼다.
그 동안 왜 발견되지 않았을까 의아해 했지만, 더 아쉬운 것은 오늘 컨디션의 난조를 극복하지 못하고 지친 하루를 보냈다는 것과 당분간 소염제와 진통제로 며칠을 더 버텨야 한다는 것이다.


<RULE>
- 1부터 12까지 모든 숫자를 연결해야 합니다.
- 모든 칸을 다 지나가야 합니다. 단, 한 번 지난 칸을 다시 지날 수 없습니다.
- 빈 칸이 생겨서도 안됩니다.